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소행성 충돌

얼마 전에 아마겟돈, 그리고 딥임펙트 같은 영화가 상영된 후 요사이 갑자기 소행성 충돌에 관한 얘기가 자주 나온다. 우리가 사는 지구는 태양을 공전하는데 지구 말고도 일곱 개나 되는 형제 행성이 태양 주위를 돈다. 그 중 화성과 목성 사이에 태양계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행성이 되지 못하고 그냥 크고 작은 파편으로 남아서 떠도는 천체를 소행성이라고 부르고 그 집합을 소행성대라고 한다.     그런 소행성이나 혹은 혜성이 어떤 이유에서 태양의 중력에 끌려 지구에 접근하기도 하는데 지구에는 대기가 있어서 지구 인력권에 들어온 천체는 대기와의 마찰에서 오는 높은 열로 지구 표면에 도착하는 과정에서 타버린다. 그렇게 대기 중에서 타는 것을 별똥별(유성)이라고 부르고 다 타버리지 않고 일부가 남아서 지구에 떨어지는 것을 별똥석, 즉 운석이라고 한다.   달에는 대기가 없어서 소행성이 부딪혀 생긴 분화구가 그대로 보인다. 천체가 지구와 충돌하던 일은 종종 있었지만, 지구에는 대기가 있으므로 표면에 닿기 전에 타버리거나 설령 그 잔해가 지구와 충돌하여 분화구를 만들어도 침식 작용, 혹은 지구의 지각 활동으로 지금까지 원형 그대로 보존되어 있지 않다. 더군다나 지표의 많은 부분이 바다여서 충돌 흔적을 찾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추측하건대 지금까지 지구에 떨어진 소행성으로 일어난 가장 큰 사건은 약 6천6백만 년 전에 멕시코의 유카탄반도 근처에 추락한 지름이 10km 정도 되는 소행성으로 그 충돌로 당시 이 땅의 주인 노릇을 하던 공룡을 비롯한 지구 생명체의 75%가 절멸했다고 한다. 물론 학설 중 하나다.   태양에서 지구까지의 거리를 편의상 AU(astronomical unit – 천문 단위)라고 하는데 태양계 내에서의 거리에 사용한다. 예를 들어 태양에서 해왕성까지는 30AU 정도 되는데 이 말은 태양에서 해왕성까지는 태양에서 지구까지 거리의 약 30배 정도라는 의미다. 근지구천체(NEO - Near Earth Objects)는 공전궤도가 태양에서 1.3AU까지 접근하는 천체를 말하며 태양과 1AU 떨어져서 공전하는 지구에 너무 가까워서 잘못하면 부딪힐지도 모르는 위험한 천체를 일컫는다.     우주 공간에서 움직이다가 어떤 이유에서 태양의 인력에 끌려 지구 궤도 가까이 다가와서 지구의 중력에 영향을 받아 잘못하면 지구에 충돌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아주 작은 것이면 지구 대기에서 타버리겠지만 오래 전 공룡을 모두 죽인 그 정도 크기의 소행성은 인류를 포함하여 지구에 서식하는 모든 동식물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미항공우주국 NASA에서는 지구에 위협이 될 수 있는 소행성이나 혜성을 감시하는 기구를 따로 만들어 운영하고 있는데 어떤 천체가 지구 궤도로부터 800만km 정도 다가오거나 그 지름이 30m 정도 되는 소행성은 잠재적 위험 천체로 분류하고 추적한다. NASA는 지금까지 약 3만 개에 달하는 잠재적 위험 천체를 발견했는데 그 중 2개는 실제로 지구와 충돌했지만, 워낙 작은 것이어서 실제적인 피해는 없었다. NASA의 목표는 위험한 천체를 미리 발견하여 지구에 충돌하기 전에 예방하는 일이다.     지구로 돌진하는 천체의 방향을 틀어 지구를 비켜 가게 하는 일은 영화 이야기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다행히 지구의 운명을 바꿀 만한 위험 천체는 아직 탐지되지 않았고 가까운 미래에도 그런 위험은 없을 것이라고 한다. (작가)     박종진박종진 이야기 소행성 충돌 천체가 지구 과학 이야기

2025-03-21

'7년 후 지구 충돌' 소행성, 한달 만에 가능성 3배 증가

NASA는 화요일, 도시 하나를 쓸어버릴 만한 크기의 소행성이 7년 후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보고했다.   NASA는 2024년 12월에 처음으로 130~300피트(약 40~90미터) 너비의 소행성 2024 YR4를 발견했으며, 당시 이 소행성의 지구 충돌 가능성은 약 1%로 추정됐다.   그런데 2025년 1월 27일, 이 소행성의 지구 충돌 가능성이 1%를 넘어섰다.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는 이를 "중요한 임계값"이라고 설명했다.   NASA는 성명에서 "현재 다른 알려진 대형 소행성 중 충돌 확률이 1%를 넘는 것은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확률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2월 7일, NASA는 이 소행성의 충돌 확률이 2.3%로 증가했다고 발표했지만, 이 역시 오래가지 않았다.   2월 18일 기준, 2024 YR4가 2032년 12월 22일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3.1%로 증가했다. 이는 현재 충돌 확률이 32분의 1에 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NASA는 성명에서 "2024 YR4 소행성이 NASA의 소행성 위험 목록에 이전에 등장했던 많은 다른 물체들처럼 충돌 위험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있다"며 "반대로 충돌 확률이 계속 증가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아직도 이 소행성이 지구를 빗나갈 확률은 96.9%이지만, JPL은 이 희귀한 소행성이 상당한 위험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하며 토리노 척도 3으로 분류했다. 이는 일반적이지 않은 등급이다.   JPL은 이 물체가 위험 목록에 오른 이유를 소행성 발견 이후 몇 달 동안 충돌 확률이 점진적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JPL은 성명에서 "만약 2024 YR4가 충돌 궤도에 있다면, 충돌은 동태평양, 남아메리카 북부, 대서양, 아프리카, 아라비아해, 남아시아에 이르는 위험 지역 어딘가에서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NASA는 2025년 3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을 통해 이 소행성을 관측해 "소행성의 크기를 더 정확히 평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학자들은 4월까지 이 소행성을 관측할 예정이지만, NASA는 이후에는 2028년 6월경까지는 너무 희미해져 관측이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AI 생성 기사소행성 가능성 소행성 충돌 소행성 발견 충돌 확률

2025-02-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